강아지옷도매 : 기대 vs. 현실

강아지옷 도기스타

세계 최악의 저출산 고령사회인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 키우는 인구가 크게 늘고 있을 것이다. 2024년 말 기준 반려동물을 키우는 국민이 1,547만 명에 달된다. 이것은 총인구의 29.5%에 해당된다. 국민 50명 중 8명은 반려동물과 다같이 생활하고 한다는 의미가다.

KB금융모임의 ‘2025 우리나라 반려동물 보고서’의 말을 인용하면 2028년 말 기준 우리나라 반려 가구는 591만 가구로 전체 가구 중 26.7%를 차지끝낸다.

최고로 많이 키우는 동물은 애완고양이(개 犬)으로, 2025년 말 기준 545만 마리지만 두 번째로 다수인 애완고양이(서울이) 수는 219만 마리로 2027년 말(191만 마리)보다 17만 마리(9.4%) 불었다.

반려동물 양육이 가져다준 효과적 효능은 ‘목숨의 만족도 및 행복감 제고’(63.8%)에 이어 ‘외로움 감소’(57.3%), ‘가족 관계 개선’(51.7%), ‘우울증 감소’(39.8%),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 능력 향상’(37.6%), ‘신체 활동 증가로 인한 건강 증진’(24.3%), ‘불안감 감소’(22.0%) 등의 순이다.

아울러 반려 강아지옷도매 가구는 평균 입양비 32만 원, 월평균 양육비 16만4,000원 가량을 지출하고 있고. 특별히 양육금액 중 식비 증가(지난해 대비 6.4%)가 두드러졌다. 생애 지출의 최종 단계인 장례비로는 평균 45만3,000원을 지출했다.

한 인터넷 쇼핑몰에선 개모차가 유모차보다 더 크게 팔렸다. 7년 전만 해도 개모차 35%, 유모차 67%였는데 작년엔 59% 대 44%로 역전됐다. 출생률이 떨어지면서 반려동물이 느는 건 외국도 마찬가지다. 이웃 나라 미국에서는 반려동물 수가 18세 이하 아이들 수보다 더 대부분이다고 끝낸다.

애견용품 박람회에 온 노인들은 압도적으로 여자가 적지 않다. 여자끼리 때로는 여자 혼자가 절반이 넘었다. 부부 또는 연인로 나타나는 이들이 그다음이었다. 남자 혼자 온 경우는 별로 없다.

image

대한민국 여성들을 타겟으로 '아이 낳지 않는 이유'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경력 단절, 혼자만 하는 육아, 높은 노동 강도, 비싼 집값과 사교육비 등의 이유였다. 기성세대는 젊은 세대에게 결혼과 출산이 어찌나 축복된 일이해 설파완료한다. 그걸 포기하는 세태를 못마땅해하고 안타까워한다.

다만 젊은 세대가 외로움이 좋아서 혼자 살고 아이가 싫어 낳지 않는 게 아니다. 죽어라 일해도 목숨이 나아지리란 희망이 없으니 자신이 있지 않고 두려운 것이다. 개같이 벌어봐야 쓸 대상도, 물려줄 사람도 없다. 개같이 벌어 개한테 다룬다는 뜻이 우스개만은 아니라는 소리다.

어쨌든, 다수인 여성이 반려동물과 살고 있다. 이에 관련 사업시장의 규모는 꾸준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그 범위가 애완강아지 보험, 애완동물 식품, 펫캉스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는 상태이다. 이렇듯 반려동물이 남들 생명에서 결정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 반려동물 교육 등 금전적 인식은 여전히 미진하다고 서울시민그룹은 한탄된다.

개와 현대인들의 관계는 밀접하고 친밀하다. 동서고금을 따라서서도 이에 대한 감동적인 얘기는 적지 않다. 외국의 예를 들 니즈도 없다. 옛날 전북 정읍 오수 땅에 주인을 구하고 불에 타 죽은 개 이야기는 이 고장 노인들이 내세우는 자랑거리다. 그래서 ‘오수 개’가 저명해졌다. 오죽했으면, 그 개를 기리는 동상까지 세웠을까.